나의 이야기/사진자료방

[스크랩] 다시 찾은 연화도, 여전히 해상낙원이다

kgrimi 2010. 7. 10. 18:34

 통영 여객선터미널에서 배를 타고 아름다운 통영항을 벗어나니 크고 작은 배들이 긴꼬리를 끌고 지나간다.

그리고 다도해의 이름값을 한다고 줄줄이 섬이다. 각기 다른 섬의 모습과 해식에 빠져 45분은 금방이었다.

시간이 없어 유명한 충무김밥을 사지 못하고 연화항에서 살려고 했으나 식사대용의 간단한 매뉴는 없다. 할 수 없이 횟집에 가서 회와 밥을 사고 맥주도 구입했다.

동네 가까이 있는 연화사의 왼편으로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 한참 지나면 후박나무 군락지가 있다. 이 곳을 지나 덕안끝 솔다랑이에서 싱싱한 회와 상치, 시원한 맥주와 밥을 넉넉히 먹고 십리골을 가는 샛길을 따라 걸어갔다. 수선당 가까이에서 봉구여쪽에 있는 보덕암과 오랜 세월 파도에 침식된 변화무상한 해안선을 보다가 고개들어 멀리 연화봉과 아미타대불을 보니 연화도의 불심이 저절로 느껴진다. 

새로 만들어진 대바위 전망대와 자연으로 만들어진 전망대 무시뿌리에서 바라본 봉구여쪽과 문등여쪽의 기암괴석과 변화가 많은 해안선, 그리고 옅은 안개에 깔린 섬들이 해상 낙원을 만든다.

다시 아들딸바위쪽으로 향했다. 여기에도 새로운 전망대가 만들어져 통영팔경의 하나인 용머리를 자세히 볼 수 있었다. 정말로 용머리는 자연이 만들어낸 궐작품이었다.

  다시 돼지목으로 내려와 동두마을에 들려 수퍼에서 쉬원한 캔커피를 마쉬니 유달리 더운 날씨를 잠시 잊게하였다. 빨래터로 알려진 진등은 가까이 있어도 열기로 숨이 차는 날씨 때문에 포기하고 다시 되돌아 가파른 차길을 걸어오니 얼마전까지 보지 못했던 망부석이 당당하게 서 있지 않은가!  

그늘진 길따라 한참 오르니 보덕암을 가는 푯말이 보인다. 왼편 해안로를 따라 걸어가니 쉬어가라는 의자가 있어 지친 몸을 의자에 맡기고 멀리 뻗어나온 용머리를 보았다.  다시 걸어 길가 언덕에 만들어진 5층석탑에 도착하니 아래로 보덕암이 위로는 연화봉과 아미타대불로 가는 길이 뚜렸하다. 사명대사의 수도터인 토굴을 지나 충청도에서 찾아온 불교신자들과 같이 나무계단이 아주 많은 연화봉을 헐떡이며 오르니 거대한 아미타불이 우도와 추도가 보이는 바다를 향하여 서 있었다. 어느새 육지에서 온 신자들은 두 손을 합장하고 돌고 있었다. 잘 만들어 논 정자에서 잠시 쉬다가 아미타불이 있는 곳으로 갔다. 불교도가 아니지만 스스로 울어나온 합장에서 고개 숙였다. 천천히 연화봉에서 바라본 바다는 오히려 많은 섬으로 넓은 바다가 갑갑해 보였다. 우도, 추도, 사량도, 초도, 국도, 두미도 등 .... 계단길을 따라 다시 내려가 보덕암에 들렸다. 저녁 공양을 준비하는 신도들이 붐빈다. 왼편 해수관음보살 쪽으로 건너와서 용머리를 쳐다보니 또 다른 용머리의 모습이다.    

 

 

 

 

                         

                               - 통영항을 벗어나니 큰배 작은배들이 들어오고 나간다 -

 

 

 

 

 

                        - 통영 가까이 있는 섬들은  낚시하는 사람들의 근거지다 -

 

 

 

 

 

 

                          

                      -바위위에서 낚시하는 사람들, 배를 빌려 낚시하는 사람들 각기 바쁘다 -

 

 

 

 

- 욕지, 연화도 가까이 오니 이름모를 작은 섬들이 즐비하다 -

 

 

 

 

                                -여객선으로 통영항에서 출발하여 약 45분이면 연화도에 도착한다 -

 

 

 

 

                    

                      -  때이른 여름이지만 섬아이들은 바다에서 수영을 하고 물놀이를 하고 -

 

 

 

 

 

              - 민들레는 척박한 자갈밭에도 생명을 영위하여 꽃을 피운다 -

 

 

 

 

 

           

    -   마을 가까이 있는 연화사 왼편으로 가파르게 오르면 아름다운 해안선을 만난다 -

 

 

 

 

 

 

 

 

 

 

 

 

 

 

                                   - 맑은 하늘과 쪽빛 바다를 배경으로 구름은 자유롭다 -

 

 

 

 

 

 

 

                          

                      -   함목에서 십리골을 가는 샛길로 수선당 근처에서 - 

 

 

 

 

                                    - 봉구여 쪽으로 쳐다보면 또 다른 아름다운 해안선을 만난다 -

 

 

          

                  -오랜 세월동안 온몸으로 파도와 맞서자니 해안선은 상처투성이다 -

 

 

                           

                      - 바다위 낭떨어지에 보덕암이 부끄러운듯 숨어있다 -

 

 

 

                      - 고개를 들면 연화봉에는 멋진 정자와 장엄한 아미타대불을 볼 수 있다 -

 

 

 

 

 

                      -  다시 대바위가 있는 무시뿌리쪽으로 가면 해안가로 기암괴석이 펼쳐진다 -

 

 

 

 

 

 

 

                        - 무시뿌리로 가는 산길-

 

 

                               - 양 옆으로 아름다운 해안 경관을 볼 수 있는 자연 전망대 무시뿌리 -

 

 

 

 

 

 

 

                           - 무시뿌리에서 보는 해안 경관 -

 

 

 

 

Ray Jung - Road To Sunset (석양으로 가는 길) | 음악을 들으려면 원본보기를 클릭해 주세요.

 

 

 

 

 

 

 

 

                          

 

       -  무시뿌리에서 -

 

 

 

 

                         

                      -대바위 전망대에서  짧은 용머리를 볼 수 있다 -

 

 

 

                                           

                                              

 

 

 

 

 

 

 

 

 

 

 

 

 

 

 

 

 

                        

                                   - 아들딸바위에서바라본 해안 경관 -

 

 

 

 

 

 

 

 

 

 

 

 

 

 

 

 

                          - 아들딸 바위 전망대에서는 용머리 전체를 다 볼 수 있다 -

 

 

 

 

 

- 아들딸바위에서 용머리를 보고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 가면 돼지목을 만난다 -

 

 

                             

                       -  돼지목을 지나 동두마을에 가면 고기를 키우는 축양업을 하는 가구가 많다 -

 

 

 

 

                         

 

                                            -돌아오는 길에서 망부석을 만났다 -

 

 

 

 

 

               -   대부분 관광객은 망부석을 놓친다.  급격히 내려가는 동두마을을 지나친다 -

 

 

 

 

 

 

 

 

              -  보덕암 가는 길에 오층석탑을 만났다 -

 

 

 

 

                   -오층석탑 근처에서 용머리를 보면 또 다른 모습이다 -

 

 

 

  - 가까이에서 보는 용머리는 투박하고 웅장하였다면  멀리서 보는 용머리의 모습은 부드러운 곡선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

 

 

 

 

                                 - 사명대사 수도처인 토굴에서 -

 

 

 지금부터 500여년 전 연산군의 억불 정책으로 한양에서 이곳 섬으로 피신하여온 스님이 부처님 대신으로 전래석(둥근돌)을 모셔놓고 예불을 올리며 수행하다가 깨쳐서 도인이 되셨다. 도인께서 돌아가실 때 유언으로 '나를 바다에 수장시켜 달라'고 고하여 제자들과 섬 주민들이 스님을 바다에 수장하니 그곳에서 커다란 연꽃이 떠올라와 승천하였다고 하여 그 때부터 섬이름을 연화도라고 하였고 돌아가신 스님도 연꽃도인이라 하였다. 그후 사명대사께서 이 섬으로 들어와서 연화도인 토굴터 및에 움막을 지으시고 대 해탈의 원을 세우고서 정진하던 중 마침내 큰 깨달음을 이루셨다

 

 

 

 

                         - 연화봉에 도착하여 - 

 

 

 

 

 

                                           - 거대한 아미타대불을 연화봉에서 만났다 -

 

 

 

 

 

 

                         -   옅은 안개속의 연화도 주변 섬들을 보았다 -  

 

 

 

 

                       - 연화도와 가장 가까이 있는 섬  우도- 

 

 

 

 

                            

                     - 쪽빛 바다를 쳐다보는 보덕암이 용머리와 함께 시원하다 -

 

 

 

 

                    - 해수관음보살 앞에 지성을 다하여 례를 올리는 신도들 -

 

 

 

 

    

          - 다시 마을로 내려 오면 -

 

 

 

           - 전통있는 연화사를 만난다 -

 

 

 

 

 

 

 

 

 

 

 

                                  - 어느듯 해는 기울고 통영으로 들어가는 배는 오지 않고 -

 

 

 

 

 

 

                   -   해님은 또 다른 곳을 비추기 위해 붉은 노을로 인사를 한다 -

 

 

 

 

 

 

 

 

      

             -  지는 해를 보고 눈물이 없다면 당신은 아직도 젊다 -   (국석) 

출처 : k-hite
글쓴이 : 菊石 원글보기
메모 :